[JLPF 27-2] 재정분권과 신화: 지방소비세 도입과 확대를 중심으로*(김재훈)

조회수
261
작성일
2022-08-30

그동안 우리나라 정부는 재정분권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론적으로 볼 때 재정분권은 지방세 세율과 세목에 대한 결정권을 통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필요한 재원을 스스로 징수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역주민에게 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20년 동안 우리나라에서의 재정분권은 특히 지방소비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계에서도 이러한 정책방향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매우 높다 보니, 지방세 세율과 세목에 대한 결정권은 여전히 중앙정부가 가지고 있으면서, 중앙부처의 산하기관을 통해서 지역 내 소비와 무관하게 지방자치단체 간에 배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소비세의 비중 확대가 재정분권의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각은 1세대 재정연방주의이론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나, 2세대 재정연방주의 이론은 다른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즉, 재정분권이 언제나 바람직한 것은 아니고, 정치인 및 관료들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효과적 통제나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 등 몇 가지 가정이 충족되어야 기대되는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2세대 재정연방주의이론을 비롯하여 다양한 지방분권 관련 이론들에 입각하여 우리나라의 지방행정 및 지방정치의 현실이 재정분권의 성공을 위한 충분조건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와 함께 우리나라 지방소비세 도입 및 확대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지방소비세의 확대가 재정분권과 무관하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주제어: 재정분권, 재정연방주의, 지방소비세, 재정개혁